
- [실내환경] 실내 환경이란 무엇인가요?
-
공기, 에너지, 물, 세균 등의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주변의 모든 것을 환경이라고 합니다.
그 중 실내 환경이란 실내 공간 내에서의 환경으로, 현대 사회에 중요하게 화자되고 있습니다.
현대 사회는 사람들의 생활에 90%는 실내 공간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실내환경은 사람들 생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 [실내환경] 실내공기질이란 무엇인가요?
-
실내공간 이용자가 육체적 정신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영향을 주는 공기의 질이라고 말할 수 있으며,
따라서 실내공기 오염이란 실내오염 물질에 의해 육체적 정신적인 피해가 유발됨을 의미합니다.
- [실내환경] 실내공기질이 왜 중요합니까?
-
산업이 발달로 에너지 효율화를 위해 실내 밀폐가 잘되고, 건축자재와 내장재 사용이 늘어나고
환기가 되지 않으면서 실내공기질이 상당히 오염되어 있습니다.
이로 인해 각종 병들이 유발할 가능성이 많아지고, '새집증후군'과 같은 각종 증후군이 발달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문제들은 실내공기질이 개선으로 통해 개선될 수 있는 것이어서 실내공기질의 개선이 건강에도 직결되는 것입니다.
- [실내공기질 측정 방법] 해당구청에서 공문이 왔는데 실내공기질 측정을 꼭 해야 되는건가요?
-
환경부에서 지정한 20개 다중이용시설에 대해서 연 1회씩 꼭 추진해야 됩니다.
환경부에서는 다중이용시설에 대하여 2004년 5월부터 실내공기질관리법을 추진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매년 의무적으로 공기질 측정을 시행하여야 합니다.
- [실내공기질 측정 방법] 실내공기질 측정을 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나요?
-
실내공기질 측정을 하지 않거나 측정결과를 기록, 보존하지 아니하거나 거짓으로
보존한 자는 200만원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측정하지 아니한 자 : 1차위반-200만원
2차위반-300만원
3차위반-500만원
- [실내공기질 측정 방법] 측정 결과값이 기준치를 넘길 경우 어떻게 되나요?
-
유지기준을 기준치의 50%미만으로 초과한 경우 : 1차위반 - 50만원
2차위반 - 60만원
3차위반 - 80만원
- [실내공기질 측정 방법] 실내에 공기청정기를 가동하는데 기준치가 넘을까요?
-
시설 규모상 공기청정기의 용량이 따라가질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공기청정기가 작동할 때 기기에 있는 모터에서 불순물이 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공기청정기의 관리가 소홀 시 각종 세균 및 오염 물질을 내뿜기도 합니다.
- [실내공기질 측정 방법] 실내공기질 측정시 유지랑 권고라는 용어를 쓰는데 이게 무슨 차이입니까?
매년 측정비용이 다르며 항목이 다른가요?
-
실내공기질은 총 10가지 항목을 측정하게 되어있습니다.
PM10외 4개 항목(PM10, CO2, HCHO, 총부유세균, CO 총5가지 항목)은 1년 한번씩 측정하게 되어 있습니다.
NO2외 4개 항목(NO2, Rn, VOC, 석면, 오존 총 5가지 항목)은 2년에 한번씩 측정하게 되어 있습니다.
연 1회 측정하는 항목을 유지라고 하며 2년에 1회씩 측정하는 항목을 권고라고 합니다.
첫해에 유지기준으로 5개 항목을 측정을 하였다면 다음해에는 유지/권고 기준으로 10개 항목을 측정하신다고 보면 됩니다.
- [실내공기질 측정 방법] 측정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얼마나 될까요?
-
오랜시간 측정하는 항목은 라돈으로 48시간입니다.
라돈 같은 경우 포집기(측정기)를 설치 후, 후에 회수하는 형태로 하고 미세먼지(PM10) 같은 경우 6시간 측정(포집)입니다.
역시 라돈과 마찬가지로 설치 후, 측정시간이 완료된 후 회수하는 형태입니다.
나머지 항목들은 총부유세균 : 30분
VOC, HCHO, CO, CO2, NO2, 오존 : 1시간
석면 : 2시간 이렇게 됩니다.
- [실내공기질 측정 방법] 저흰 매년 연말에 측정하는데 연말에 측정하면 되는 건가요?
-
대부분의 시설들이 연말에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연말에 해야 하는 것이 아니고, 해당 시설별 원하는 날짜에 하면 됩니다.
구청에서는 건물 준공일 기준으로 측정하기를 권고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시설들이 몰리는 연말에는 측정 스케쥴이 잡기 힘든 시기이므로 그 전에 측정하는 것이
해당 시설이 원하는 날짜로 스케쥴을 잡기가 용이할 것이라고 봅니다.
- [실내공기질 측정 방법] 실내공기측정은 형식적으로 하는 것 아닙니까?
-
현대에는 실내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많으므로 좀더 쾌적한 환경에서 지낼 수 있게 관리하는 정책입니다.
형식적으로 측정하는 업체도 있을 수 있겠지만, 측정을 통해 시설별 오염도를 확인ㆍ개선해야 되는 포인트를
찾아내는 지표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 지표를 토대로 환기라는 간단한 작업에서부터 광촉매 시공이라는 시설 공사까지
다양한 방법으로 개선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내 시설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건강을 지켜주는 처음 단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